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 TOP 10 (2024년 최신 통계)

by 플라이멍 2025. 3. 7.
반응형

 

1. 소개 및 서론
 

대한민국에는 수많은 성씨가 존재하지만, 일부 성씨는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과연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무엇이며, 인구 비율은 어떻게 될까요?

이 글에서는 최신 통계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 10가지를 분석하고, 각 성씨의 기원과 변천사, 그리고 지역별 분포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우리나라 대한민국 TOP 10 성씨 순위

1위 김씨 (21%) 2위 이씨 (15%)
3위 박씨 (8%) 4위 정씨 (4%)
5위 최씨 (4%) 6위 조씨 (3%)
7위 강씨 (2%) 8위 윤씨 (2%)
9위 장씨 (1.5%) 10위 임씨 (1.5%)

역시나 예상했던 대로 대한민국 성씨 1위는 김씨인 것으로 나왔습니다. 전체 인구의 무려 21%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니 놀라운데요. 그 뒤를 이씨와 박씨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같은 성씨라도 본관이 다르면 서로 다른 계통에서 유래했음을 의미하며, 족보나 가계도를 통해 자신의 뿌리를 확인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죠.

특히 김씨의 경우 경주 김씨, 김해 김씨 등 다양한 본관이 있어 같은 김씨라고 해도 "어디"김씨인지 묻는 경우가 흔한데요. 

3. 성씨의 기원과 변화
 

한국 성씨의 기원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왕족과 귀족들만이 성씨를 사용했고,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점차 일반 백성들에게도 성씨가 퍼졌습니다.

가장 흔한 김씨, 이씨, 박씨는 신라와 백제, 고구려의 왕족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각 지역으로 퍼지면서 다양한 본관이 형성되었습니다.

4. 지역별 성씨 분포 
 

한국의 성씨는 지역별로도 차이가 큽니다. 통계청의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는 전국 및 지역별 성씨와 본관에 대한 인구 분포 및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 서비스는 1985년, 2000년, 2015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씨별 인구 분포를 시·군·구 단위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김씨의 경우 전국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경상도 지역에서 특히 높은 분포를 나타냅니다. 반면, 전라도 지역에서는 박씨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지역별 성씨 분포는 역사적, 지리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은 조선 시대의 양반 가문과 본관 시스템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5. 대한민국 성씨 TOP10 정리
 
  •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김씨"로 전체 인구의 약 21%를 차지
  • 이씨(15%)와 박씨(8%)도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
  • 한국의 성씨는 삼국시대부터 유래하며, 왕족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음
  • 각 성씨는 특정 지역과 본관을 중심으로 퍼져나감
  • 현대에도 성씨 분포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 TOP 10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의 성은 이 안에 들어있으신가요? 저는 이 안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 )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 TOP 10 (2024년 최신 통계) 정보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html { scroll-behavior: smoo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