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해 여권을 다시 만들까 싶어 여권 사진을 찍으려고 알아보고 있는데요. 예전에 찍어서 어떻게 찍었는지 기억이 잘 안납니다. 여권 사진은 국제적으로 정해진 규격과 규정을 따라야 하며, 각국의 여권 발급 기관에서도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가이드라인대로 찍으셔야 합니다.
사진이 규정에 맞지 않으면 여권 신청이 반려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규정을 숙지하고 준비하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번 글에서 여권사진 규격 앞머리 귀 눈썹 안경 규정 컬러렌즈 머리띠까지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여권 사진 규격과 크기
- 사진 크기: 가로 3.5cm × 세로 4.5cm
- 얼굴 크기: 턱부터 정수리까지 3.2cm ~ 3.6cm
- 배경은 흰색 또는 밝은 색이어야 하며, 그림자나 패턴이 없어야 합니다.
- 얼굴과 어깨가 정면을 향해야 하며, 머리를 기울이거나 측면을 바라보면 안 됩니다.
- 사진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것이어야 합니다.
2. 앞머리와 귀 노출 규정
- 이마와 눈썹을 가리지 않아야 합니다.
- 귀는 필수로 노출할 필요는 없지만, 가리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 머리카락이 얼굴을 덮거나 그림자를 만들지 않도록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눈썹과 눈 관련 규정
- 눈썹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 머리카락이 눈을 가리면 안 됩니다.
- 눈을 크게 뜨고 정면을 응시해야 하며, 감거나 한쪽이 가려지면 안 됩니다.
4. 안경 착용 가능 여부
- 일반 안경 착용은 가능하지만 반사광이 없어야 합니다.
- 색이 있는 선글라스 또는 색안경은 착용할 수 없습니다.
- 테가 두꺼운 뿔테 안경은 얼굴을 가릴 수 있어 권장되지 않습니다.
- 렌즈에 반사광이 없어야 하며, 안경으로 인해 눈이 가려지지 않아야 합니다.
5. 컬러렌즈와 서클렌즈 규정
- 컬러렌즈 및 서클렌즈 착용은 불가능합니다.
- 눈동자가 자연스럽고 선명하게 보여야 합니다.
- 적목 현상(눈이 빨갛게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촬영해야 합니다.
6. 머리띠 및 액세서리 규정
- 머리띠 및 크기가 큰 액세서리 착용은 금지됩니다.
- 종교적 이유로 머리 덮개(히잡, 터번 등)를 착용하는 경우 얼굴 전체가 명확하게 보여야 합니다.
- 머리 장식이 없는 것이 원칙이며, 장신구로 인해 얼굴이 가려지면 안 됩니다.
- 작은 크기의 귀걸이는 착용할 수 있으나, 크거나 화려한 디자인의 귀걸이는 금지됩니다.
7. 표정 및 자세 규정
- 입을 다물고 자연스러운 표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입을 벌리거나 웃으면 안 됩니다.)
- 치아가 보이거나 과도한 미소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얼굴과 어깨가 정면을 바라보아야 하며, 고개를 기울이거나 돌리면 안 됩니다.
8. 배경 및 조명 규정
- 배경은 반드시 흰색 또는 밝은 단색이어야 합니다.
- 배경에 그림자나 물체가 비치면 안 됩니다.
- 조명은 얼굴을 균일하게 비춰야 하며, 강한 그림자나 눈부심이 없어야 합니다.
9. 어린이 및 유아 여권 사진 규정
- 혼자 찍은 사진이어야 하며, 보호자 손이 보이면 안 됩니다.
- 눈을 뜨고 있어야 하며, 자연스럽게 정면을 응시해야 합니다.
- 배경에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신생아의 경우 흰 천을 배경으로 눕혀 촬영할 수 있습니다.
10. 사진 유효기간 및 재사용 가능 여부
- 사진은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것이어야 합니다.
- 기존 여권에 사용한 사진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새로 촬영해야 합니다.
마무리
여권사진 규격 앞머리 귀 눈썹 안경 규정 컬러렌즈 머리띠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여권 사진은 국제적인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각국의 여권 심사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촬영 전에 해당 국가의 여권 발급 기관이 제공하는 공식 가이드를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특히, 얼굴이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촬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사진이 기준에 맞지 않으면 여권 신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한 한국 성씨 TOP 10 전국에 몇 명이나 있을까? (0) | 2025.03.07 |
---|---|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 TOP 10 (2024년 최신 통계) (0) | 2025.03.07 |
장염 다 나았는지 확인하는 방법 & 빨리 낫는 법 (0) | 2025.03.06 |
신용카드 딱 하루 연체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2.24 |
운전면허갱신 적성검사 준비물 운전면허증 수수료 온라인 신청 방법 (0) | 2024.11.19 |
댓글